top of page
​프로젝트  및 공정소개

엔탑기술(Entop Technology Co., Ltd.)최첨단 폐타이어 열분해 시설 개발을 목표로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용 수명을 다한 폐타이어를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전환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하며, 열분해 과정을 통해 고품질 카본블랙, 강선(Steel Wire), 합성가스(Syngas) 등의 재활용을 실현합니다.

 

특히, 엔탑기술의 모듈형 열분해 설계(Modular Pyrolysis Design)를 도입하여,

  • ESG 목표

  • RE100 이니셔티브에 부합하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타이어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할 것입니다.
     

전체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Step 1: 원료(폐타이어) 수급 및 입고

  • 주요 원료인 폐타이어를 확보 및 입고하는 단계입니다.

  • 타이어는 칩 형태(20~40mm 크기)로 가공되어 시설로 공급됩니다.

  • 타이어를 칩 형태로 만들면 열분해 반응기에 최적화된 크기로 가공되어 처리 효율이 향상됩니다.
     

🔹 Step 2: 타이어 칩을 열분해 반응기에 투입

  • 분쇄된 폐타이어 칩은 밀폐 구조를 갖춘 연속식 열분해 반응기에 투입됩니다.

  • 밀폐형 구조를 통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공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 자동 연속 공급 시스템이 적용되어, 안정적인 원료 공급 및 운영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 Step 3: 간접 가열을 통한 타이어 칩 열분해

  • 반응기 내부에서 핫에어(Hot Air)를 이용해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타이어 칩을 열분해합니다.

  • 간접 가열 방식은 직접 화염 노출 없이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여, 공정 안정성을 높입니다.

  •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타이어 칩이 기화되며 본격적인 열분해 반응이 진행됩니다.
     

🔹 Step 4: 열분해 가스 및 열분해유(Pyrolysis Oil) 생산

  • 열분해 과정에서 가열된 타이어 칩이 열분해 가스를 생성합니다.

  • 이 가스를 냉각 및 응축하면 열분해유(Pyrolysis Oil)가 생산됩니다.

  • 열분해유는 총 생산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 대체 연료로 활용되거나

    • 정제 과정을 거쳐 상업용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습니다.
       

🔹 Step 5: 재생 카본블랙(rCB) 회수

  • 공정의 핵심 부산물인 재생 카본블랙(rCB, Recovered Carbon Black)이 회수됩니다.

  • 전체 생산량의 약 42%를 차지하며, 타이어,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체에서 원료로 활용됩니다.
     

활용도 향상을 위한 추가 가공 과정:
1️⃣ 초기 rCB는 미세한 분말 형태로 존재합니다.
2️⃣ 이를 정제 및 가공하여 입상(Granule) 형태로 만듭니다.
3️⃣ 이러한 개선을 통해, 핸들링 용이성과 산업 적용성이 향상됩니다.

 

  • 타이어 제조, 고무·플라스틱 제품 생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
     

🔹 Step 6: 미응축 가스(Non-Condensable Gas)의 에너지원 활용

  • 열분해 과정에서 응축되지 않은 약 20%의 열분해 가스는 반응기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됩니다.

  • 이를 통해 외부 연료 공급 없이 지속적인 공정 운영이 가능하며,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이 실현됩니다.

  • 초기 가열 시에는 LNG 또는 LPG를 사용하지만, 이후에는 자체 생성된 가스를 활용하여 운영 비용 절감 및 환경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Step 7: 연속 및 자동화 운영 시스템

모든 공정은 24시간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일관된 성능 유지 및 최소한의 수작업 필요
✅ 운영 시간 단축을 통한 높은 생산성 확보
✅ 온도, 압력, 가스 흐름 등 핵심 파라미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 지속 가능성을 반영한 엔탑기술의 폐타이어 열분해 시스템

엔탑기술의 열분해 공정은 폐타이어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
✔ 공정 내 부산물(미응축 가스)을 자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친환경적 운영 실현
✔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에너지 소비 절감 및 공정 신뢰성 향상

bottom of page